신약개발 위한 빅데이터 기반 가상인체 시스템 개발
이도헌 교수팀, 신약개발 비용·기간 단축 기대
이도헌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약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가상인체모델(CODA)을 개발했다.
최근 신약개발에 드는 비용과 개발 기간을 줄이기 위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세포 수준만을 고려해 약물이 실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바이오·의료분야 PubMed(논문 DB), KEGG(생체회로 DB) 등 2600만 여개 국제적 빅데이터를 활용해 인체 내 조직·세포들의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가상인체시스템을 구축했다.
논문을 통해 공개된 정보 외에도 내부 실험으로부터 얻은 데이터와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나온 상호작용을 포함했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통해 약물과 질병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를 분석, 약물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도헌 교수는 "향후 연구계·산업계와의 협업을 통해 신약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10월에는 영국 캠브리지 대학 Milner 연구소가 개최하는 국제 심포지움에 참석해 화이자·아스트라제네카 등 세계적인 제약기업들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8월 8일자에 실렸다.